블로그에 개인의 생각과 감정, 경험이 담긴 일기를 써보자

이제 블로그는 정보 전달의 목적성이 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챗GPT에게 한 방에 밀려버렸어요. 정보는 AI에게 물어보면 바로 데이터 수집 후 거의 정답에 가까운 답을 순식간에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 세상이 되어버렸어요. 키보드로, 또는 음성으로 손쉽게 누구나 정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그것도 단 시간에 말입니다. 미야자키 하야오 씨가 최근 현타를 많이 느낀다는 인터뷰를 보았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그가 몇날 며칠을 고민하고 고민하면서 만든 애니메이션의 단 4초 분량을 AI는 그냥 순식간에 만들어 버리니까 현타가 올 수 밖에 없어요. 무언가를 고생 고생하면서 얻은 결과를 타인이 그 방법을 순식간에 카피에 비슷한 결과로 만든다고 가정해 본다면 진짜 힘 빠지고 황당하며 화도나고 분한 감정이 들 것입니다. 지금 AI 시장이 온라인 검색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제 정보의 가치가 거의 사라졌습니다. 널린게 정보인데다 챗GPT같은 AI에게 그냥 질문만 던지면 알아서 물어와주기에 사용자는 그저 질문만 잘 던지면 되며, 설령 이상한 답변을 물어다 주어도 재질문을 통해서 다시 정보를 습득하면 됩니다. 왜 AI가 크게 인기가 상승했는지는 바로 이 부분에서 나오죠. 바로 편리한 접근성입니다. 또 하나가 시간 단축입니다. 일이 이렇게까지 발생하게된 배경에는 품질이 떨어지는 블로거가 엄청 많았던것도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네이버 포스트 밈 이라는게 있습니다. 제목에는 마치 뭔가를 알려줄 것 처럼 적어두고서는 막상 들어가서 읽어보면 알맹이는 온데간데 없고 그냥 헛소리만 하고 오늘의 포스팅을 마친다는 내용이 그것입니다. 딱 지금의 블로그 현실을 정확히 꼬집고 있습니다. 때문에 사람들은 블로그 검색의 신뢰를 이미 잃어버렸어요. 안 믿어요. 또한 광고글들이 많은 것도 원인 중 하나입니다. 여러 광고가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체험단이 있습니다. 이 체험단을 목표로 블로그를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