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블로그(Blogger) 본문 어필리에이트 커미션 링크 사용 시 반드시 rel 속성 중 이것을 사용해야 한다
콘텐츠에 민감한 구글 서비스
구글 블로그는 어필리에이트 링크에 민감한 것 같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아무래도 전 세계 사용자들을 가지고 있는 블로그 플랫폼인 만큼 콘텐츠에 민감하게 대응을 해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링크도 철처하게 관리 감독을 하고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구글은 콘텐츠의 민감도를 더욱 강화하는 정책을 자주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성년자를 위협하는 각종 콘텐츠는 절대 봐주지 않아요. 영구 삭제되거나 아예 해당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통해서 더 이상 구글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 하게 될 수도 있어요. 심한 경우에는 경찰과의 협동 조사가 이루어져 사용자를 아예 구속시키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잉? 링크 rel 속성하는데 뭔 이렇게 기강을 잡냐고요? 당연합니다. 그만큼 콘텐츠는 중요하다는걸 강조하고 싶은 것입니다. 저는 이 경험을 통해 구글 블로그 자체가 통으로 삭제가 되는 경험을 했기에 더욱 뼈저리게 느끼고 있으며 이런 일들이 여러분들에게도 발생하면 안 되잖아요? 그래서 노파심에 몇 번이고 강조하고 싶은 마음인 것입니다. 이해 되시죠?
블로그 플랫폼을 통해서 여러 어필리에이트 링크를 사용, 이로 인해서 수익을 도모하는 분들이 국내에 엄청 많습니다. 네이버 블로그의 경우에도 일단 플랫폼에서 HTML 수정은 불가능하지만 링크 정도 넣는건 가능하기에 어필리에이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분들이 많아요. 특히 국내에서는 쿠팡 파트너스 사용자가 많죠. 저도 이용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알리익스프레스(줄여서 알리) 어필리에이트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알리의 경우에는 알리익스프레스 포탈스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rel 속성
근데 이런 커미션 링크를 구글 블로그에 그대로 사용하면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본문이 무통보 삭제(블라인드) 처리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구글 블로그는 아예 이런 커미션 링크를 사용을 못 하느냐?! 처음에 저도 그런 줄 알았지만 다행히도(?) 구글 블로그 가이드라인을 살펴보면 <a> 링크 사용 시 반드시 rel 속성을 넣어서 어떤 성격의 링크인지를 명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을 통해서 구글 블로그에서 어필리에이트 링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웹 자료는 아래의 페이지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읽어보셨습니까? 즉 rel 속성은 해당 링크의 페이지가 본문의 내용과 어떤 상관 관계가 있는지를 구글 검색 알고리즘에 알리는 역할을 해줍니다. 이런 것들을 크롤링이라고 보통 부르죠. 크롤링이느 해당 웹페이지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보시면 rel 속성 몇 가지를 안내하고 있는데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rel="nofollow" : 크롤링 안 됨
rel="ugc" : 포럼같은 커뮤니티 관련 웹페이지 (댓글 포함)
rel="sponsored" : 광고 및 유료 커미션 링크
nofollow 같은 경우는 지금 이 글의 본문에서는 저 위에 있는 구글 관련 도움말 웹문서 링크에 사용이 되어있습니다. 왜냐하면 현재 이 글은 구글 블로그 플랫폼에 작성되었고 해당 링크 또한 구글 관련 공식 문서이기에 굳이 크롤링을 안 해도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보편적으로 우리가 너무 잘 알고 있는 공식 사이트들은 이러한 rel 속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요. 이해가 되시죠?
예시 살펴보기
잠시 다른 rel 속성을 언급하느라 방향이 틀어졌는데 결국 유료 링크의 경우에는 무조건! rel="sponsored"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속성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중요하겠죠? 아래에 간단한 링크를 넣어보았습니다. 알리 어필리에이트 링크이며 제품은 키보드입니다.
이제 위의 링크 상태를 살펴보세요. 크로미음 기반의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개발자 모드를 통해서 (보통 F12) 링크 속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아니면 링크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해서 링크 상태를 확인할수도 있고요.
이렇게 말입니다. 보시면 rel 속성이 분명하게 a링크에 들어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안 보이시는 분들을 위해서 코드를 아래에 한번 더 나열해보겠습니다.
1 | <p><a href="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docs/crawling-indexing/qualify-outbound-links?hl=ko&authuser=0" rel="sponsored" target="_blank">Google에 발신 링크의 관계 알리기</a></p> | cs |
보시면 a 태그 바로 다음에 원래는 href 속성이 오는데 저는 글을 작성하면서 수동으로 rel="sponsored" 속성을 넣어주었습니다. 애석하게도 구글 블로그 플랫폼은 이런 디테일한 부분까지 친절하게 UI로 해결을 못 해주기에 어쩔 수 없이 수동으로 넣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어요. 근데 이 부분은 앞으로도 업데이트는 안 될 것 같습니다. 이걸 편리하게 삽입하는 기능을 업데이트 한다면 구글은 공식적으로 "유료 링크를 허하노라!" 라고 만천하에 알리는 꼴이 될테니까요.
rel 속성 입력 방법
간단합니다. 일단 구글 블로그 본문에 링크 넣는건 다들 아시죠? 링크를 만듭니다.
구글 글쓰기 모드를 일반모드에서 HTML 보기 모드로 변경합니다. 왼쪽 상단의 제목 입력란 아래에 있는 볼펜 모양 아이콘을 누르면 보입니다.
이렇게 말이죠. HTML 보기 모드로 들어갑니다.
방금 만들어준 a 링크 속성을 찾으셨다면 a 링크 안에 rel="sponsored" 속성을 수동으로 입력합니다. 참고로 위치는 어디든 상관 없어요. 구글에서 자동으로 href 다음에 rel 속성이 위치하도록 알아서 조정되거든요. 사이 사이 띄어쓰기만 잘 해주시면 됩니다. 끝.
댓글
댓글 쓰기
비밀글은 삭제합니다. 공개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