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온 필요없는 와우 폰트 (글꼴, 글씨체) 변경 방법 (2025 버전)

내 사랑 와우

요즘 와우를 종종 즐기고 있습니다. 앞으로 계속 즐기기 위해서 무려 118,000원짜리 탈것도 질렀단 말이죠?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으니 구매한건데 진짜 사두길 잘했다는 생각입니다. 지금은 안 팔아요. 한정판이었거든요. (껄껄) 아무튼 와우를 라이트하게 즐기는 유저임에도 불구하고 욕심은 많기에 이번에는 게임 내 폰트(글꼴, 글씨체)를 변경해보고 싶어졌습니다. 바로 찾아봤고 의외로 너무 간단했습니다.


와우 폰트 위치

우선 폰트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와우(World Of Warcraft)가 설치된 디렉터리를 알아야 합니다.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C: > Program Files (x86) > World of Warcraft > _retail_ > fonts


이 경로를 들어가 보시면 615로 시작하는 파일명의 slug 라는 확장자 파일들이 6개가 있을겁니다. 이 폴더 안에 적용하고자 하는 폰트 파일을 일단 복사합니다. 만약 위의 경로에 fonts 폴더가 없다면 새로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지금 저의 와우 폰트 폴더 상황입니다. 경로 안에 6개의 ttf 폰트 파일이 들어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저는 a시네마B체를 적용시킨 상황입니다. 이거 진짜 와우와 찰떡이에요. 개인적으로 강추하는 글꼴입니다.


폰트 적용 방법

방법은 이렇습니다. 우선 원하는 글꼴 파일을 복사해서 붙여넣고 해당 폰트 파일을 6개로 만듭니다. 복붙을 추가적으로 계속하면 되겠죠? 그리고 파일명을 다음과 같이 변경합니다. 잘 모르시겠다면 방금 전 보셨던 스크린샷 이미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 2002 : 와우 전체 폰트
  • 2002B : 유닛 이름 (체력바 이름표는 미적용)
  • K_damage : 한글 전투 데미지 (숫자포함) 관련 폰트
  • K_pagetext : 한글 각 인터페이스, 지역명, 퀘스트, 가방, 우편 등등 전반적인 폰트
  • ARIALN, FRIZQT_ : 영문용 폰트


이렇게 변경하시고 이제 와우에 접속하시면 됩니다. 진짜 쉽죠? 잘 모르겠으면 그냥 2002 파일 하나만 만들어도 상관 없습니다. 하지만 완벽하게 하려면 역시 싹 다 변경하는게 좋을겁니다. 또한 특정 영역만 다른 폰트로 하고 싶다면 위의 방법을 응용해서 각각 다른 폰트를 가져와 파일명만 변경해주면 됩니다.


적용 결과

저는 현재 a시네마B체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씀 드렸죠?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스크린샷으로 몇 장 보여드리겠습니다.


와우 접속 시 안내창의 모습입니다.


오른쪽 캐릭터 목록이고요.


접속 전 캐릭터 모습입니다.


대장정 퀘스트 목록입니다.


퀘스트 설명 부분이고요.


ESC를 눌렀을 때 나타나는 메뉴창입니다.


설정 화면의 모습입니다.


게임 내 데미지 폰트에 적용된 모습이고요. 이름표도 잘 적용되어 있습니다.


경험치 폰트도 굿!


가방 아이템에도 잘 적용되어 있습니다.


캐릭터 세팅 화면도 당연히 잘 적용되어있고요.


채팅창도 굿입니다.


마지막으로 화면 하단 UI 부분의 모습입니다. 잘 적용되어 있습니다.


마무리

참고로 대부분의 폰트는 L, M, B가 있습니다. L은 Light의 약자로 얇은이라는 의미이며 M은 Medium으로 보통, 마지막으로 B는 Bold의 약자로 굵게라는 뜻입니다. 와우 폰트는 개인적으로 B가 가장 잘 어울리는 것 같고 제일 가독성 떨어지는건 L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부 UI에서는 얇은 폰트가 깨져 보이기도 하거든요. 물론 이것도 글꼴마다 상이하므로 일단 B를 먼저 적용해 보시고 조금씩 폰트 굵기가 얇은 것으로 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 하실 필요는 없고 2002 폰트 하나만 우선 적용시켜 보는게 빠르겠죠? 그럼 모두들 즐와 하시기 바라겠고, 혹시라도 저를 만나신다면 반갑게 인사 한 마디 부탁드립니다. 완전 와린이에요. 끝.

댓글

가장 많이 본 글

PC 부팅시 삐삐삐 소리 (경고음) 및 화면 안 켜지는 문제 해결 방법

키보드 폴링레이트 테스트 프로그램 Keyboard Inspector (인스펙터) 다운로드 및 사용법

친효스킨 For 구글블로거(Blogger) 반응형 스킨 다운로드 및 사용 방법